본문 바로가기
Cloud/Docker | K8s + CI, CD

[CI/CD][#1] EC2(ubuntu)에 Jenkins 설치하기

by HelloJudy 2022. 5. 23.

0. 개요

 

우선 많은 CI,CD 중 Jenkins를 사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무료 사용
  • 방대한 양의 플로그인
  • 다양한 적용사례 및 풍부한 레퍼런스

 

✔️ tool 종류

더보기

 

  1. Jenkins : Buildkite
  2. GitHub Actions
  3. GitLab CI/CD
  4. CircleCI
  5. Argo CD

 

📌 지난 포스팅


 

1. EC2(ubuntu)에 Jenkins 설치하기

 

Window인 로컬에서 하는 것보다 EC2 인스턴스에서 실습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라 판단하여 EC2 인스턴스 위에 Jenkins를 설치해보자.

 

📌 설치 관련 Jenkins 공식문서

 

 

1) Jenkins 서버를 위한 인스턴스 생성

 

Jenkins 서버를 위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ssh 접속까지 완료했다.

 

 

2) Long Term Support release로 설치

 

설치 CLI

curl -fsSL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key | sudo tee \
  /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dev/null
echo deb [signed-by=/usr/share/keyrings/jenkins-keyring.asc]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sudo tee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dev/null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jenkins
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key | sudo apt-key add -
sudo sh -c 'echo deb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jenkins

 

3) java, git, docker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openjdk-11-jdk git docker

 

 

2. Jenkins 실행

 

sudo service jenkins start
sudo service jenkins status

 

다음과 같이 active로 나오면 정상적으로 실행된 것이다.

공식문서에 따르면 jenkins 초기 포트번호는 8080이다.

이때 인스턴스 보안그룹 인바운드 규칙에 8080 포트도 열어주는 것을 잊지말자!

 

인스턴스의 '퍼블릭 IPv4 DNS:8080'를 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이때 알려주는 password의 위치를 보고 확인하고 입력하자.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1) Jenkins 대시보드

 

나는 일단 왼쪽 버튼을 클릭해서 추천해주는 플러그인을 설치했다.

 

 

그 다음 Jenkins 초기 사용자를 설정해주었다.

 

 

이제 대시보드 접속까지 Jenkins 연결을 완료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인 파이프라인을 구축해보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