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Linux

리눅스 기초

by HelloJudy 2022. 7. 27.

1. 소개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에 의해 만들어진 컴퓨터 운영 체제이다.

 

✔️ GNU 프로젝트

  • GNU = Gnu is not Unix
  • 유닉스 운영체제를 여러 회사에서 각자 개발하며 소스코드를 공유하지 않는 문화에 대한 반발로 생겼다.
  • 오픈 소스를 지향한다.

 

출처: 잔재미 코딩

 

kernel :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코드를 통해 소프트웨어와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시스템의 모든 자원을 통제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프로세스/메모리/파일시스템/장치관리등 컴퓨터의 모든 자원 초기화 및 제어가능

shell : 명령어 해석기라고 불리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어를 커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2. 종류

패키지 형식 패키지 관리자 운영체제 이름
레드햇 .rmp yum centOS
페도라(Fedora)
데비안 레드햇 .deb Apt 우분투(Ubuntu)
리눅스 민트
라즈비안
안드로이드 .apk Android Package Manager 안드로이드 OS

 

 

3. 우분투

남아프리카 반투어인 '너가 있으니 나도 있다' 라는 의미이다.

 

 

4. 기본 명령어

✔️ Shell : Shell은 커널과 사용자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여 커널에 명령을 요청

 

✔️ Shell의 종류

이름 키워드
Bourne-Again Shell bash
Bourne Shell Sh
C Shell csh
Korn Shell Ksh

 

bash : 리눅스의 기본 Shell,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됨

 

 

✔️ 리눅스 기본 명령어

  • whoami :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ID를 알려주는 명령어
  • passwd : 로그인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명령어
  • pwd : 현재 디렉토리 위치를 출력
  • ls :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을 출력
  • ls -l :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을 상세히 출력
  • ls -a :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출력
  • ls -al
  • cd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
  • --help : 사용하고자 하는 명령어 뒤에 붙여서 사용, 명령어에 대한 사용 방법 출력

 

 

5. apt (패키지 관리자)

Advanced Packaging Tool의 약자로 데비안 리눅스(.dev) 또는 파생된 배포판(우분투)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 제거, 업데이트할 때 사용한다.

 

✔️  apt-get

  • 기존에 사용하던 키워드로 최신 우분투에서는 apt 키워드 제공
apt 기존 명령어
apt install apt-get install
apt remove apt-get remove
apt update apt-get update
apt search apt-cache search
apt show apt-cache show

 

6. root 

리눅스에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는 최고 관리자를 의미

 


📌 Reference

  • Elice Ai Track에서 제공하는 강의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파일 시스템  (0) 2022.07.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