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Linux

[Linux] 파일 시스템

by HelloJudy 2022. 7. 31.

1. 파일 시스템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상에 구성하는 방식

 

🔺디렉토리

 

: 리파일과 다른 디렉토리들을 분류하기 위해 붙이는 이름 공간

: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들을 그룹으로 묶은 개념

 

🔺 파일

 

: 컴퓨터에서 의미가 있는 정보를 담는 논리적인 단위

: 주기억장치나 디스크처럼 물리적인 하드웨어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집합

 

✔️ 종류

FAT, NTFS, EXT

 

✔️ 디렉토리 구조

: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는 트리(tree) 구조

 

$ tree

 

 

2. 소유권과 권한

 

✔️ 파일 속성

 

출처: https://velog.io/@lovehp30/%EB%A6%AC%EB%88%85%EC%8A%A4-%ED%8C%8C%EC%9D%BC-%EC%86%8D%EC%84%B1

✔️ 파일의 권한

 

출처: https://velog.io/@lovehp30/%EB%A6%AC%EB%88%85%EC%8A%A4-%ED%8C%8C%EC%9D%BC-%EC%86%8D%EC%84%B1

 

 

[ 권한 변경: chmod ]

 

chmod [파일권한] [변경할 파일 위치 또는 이름]
  • 읽기(4)
  • 쓰기(2)
  • 실행(1)

: 777 권한은 모든 사용자가 모든 권한을 얻는다는 의미

 

 

[ 소유권 변경: chown ]

 

chown [소유할유저]:[소유할그룹]
[소유권 변경하고 싶은 디렉토리 or 파일 명]

 

: root 권한이 있어야 실행 가능하다.

 

 

3. 파일 명령어

 

  • 디렉토리 생성 : mkdir
  • 빈파일 생성 : touch
  • 디렉토리 삭제 : rmdir
  •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 rm
  •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 : cp
  • 파일 및 디렉토리 이동 : mv
  • 파일 내용 출력 : cat
  • 파일 검색 : find
반응형

'Computer Science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초  (0) 2022.07.27

댓글